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언약신학, 쟁점으로 읽는다 - 인물과 주제로 읽는 언약신학 입문
    책이야기/신간소개 2014. 11. 10. 16:44


    언약 신학인가?”

    서양사를 대학에서 전공하던 필자를 사로잡았던 질문이다. 루터와 칼뱅의 종교개혁이 서구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듯이 17세기 청교도의 언약 사상은 근대사를 향한 사회 변동의 중요한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

    일찍이 하버드 대학에서 청교도 연구의 기초를 놓은 페리 밀러(Perry Miller, 1905-1963)가 초기에는 필자에게 권위 있는 안내자였다. 이러한 밀러가 교회사 전공 신학도가 된 필자에게는 오히려 극복해야할 과제로 바뀌었다. 특히 청교도 계약(언약) 사상에 대한 그의 테제는 적지 않은 오류를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언약이라는 주제로 구약과 신약을 꿰뚫고 일관성 있고 명쾌한 논리로 성경 전체를 풀어낸 수많은 저작들 속에 푹 빠져들게 된 필자는 거기서 언약신학의달콤함을 맛보았다.

     

    교회를 위한 실천적 함의는 무엇일까?”

    이 질문은 본격적으로 언약 신학의 심해로 뛰어들면서 품게 된 또 하나의 질문이다. 언약 신학을 자신들의 교회와 목회 현장에 적용하는 일군의 무리들이 있었다. 1630년대 이후 뉴잉글랜드로 건너간 청교도가 바로 그런 사람들이다. 그들은 언약 신학을 교회론에 적용하는 실험을 했고 그 결과 교회 언약을 탄생시켰다. 그들은 교회 언약을 가르치고(교리), 실천했으며(예식), 그리고 기록으로 남겼다(문서). 이들이 몸소 경험한 교회 언약의 장점과 한계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많은 것을 시사한다.

     


    1. 도서 소개 

    제목

    언약신학, 쟁점으로 읽는다

    저자

    안상혁

     

     

    정가

    18,000

    페이지

    399

    판형(형태)

    신국판(152*225mm) 양장

    출간일

    2014 11 11

    ISBN

    978-89-7304-105-3 (93230)


    2. 저자 소개

     

    안상혁은 연세대학교에서 사학(B.A.)을 공부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서양사(M.A.)를 전공하였다. 이러한 인문학적 토대를 쌓은 다음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M.Div.)에서 신학 수업을 시작하여, 미국 예일대학교 신학부(S.T.M.)와 칼빈신학대학원에서 역사신학(Ph.D.)을 전공하였다. 유학에서 돌아온 뒤 모교인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현재 교회사를 가르치고 있다. 연구 관심사는 16,17세기를 구성하는 역사신학 분야이다. 즉 종교개혁과 개혁파 정통신학과 청교도 신학을 관통하여 흐르는 성경 주해의 전통이 무엇인지 탐구하여 신학적으로 한국교회를 섬기려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3. 목차

     

    추천사_리처드 A. 멀러

    머리말

     

    1장 언약 신학의 쟁점들

    I. 역사[신학]적 접근: 현대의 논의들

    1. 밀러 테제와 칼뱅주의자들에게 대항하는 칼뱅 테제

    2. “두 전통테제

    3. 자연법과 사회계약론

    4. 사회 통제에서 막스 베버의 테제까지

    II. 신학적 접근: 주요 쟁점들

    1. 타락 전 [행위] 언약

    2. 은혜 언약

     

    2장 윌리엄 퍼킨스의 언약 신학

    I. 리처드 그린햄(1531-1591): “예정, 불안, 확신

    1. 목회 상담의 주제로서의 구원의 확신과 불안

    2. 예정론과 선택의 표지들

    3. 가장 확실한 근거: “말씀과 그리스도

    II. 윌리엄 퍼킨스(1558-1602)의 언약 신학

    1. 언약 신학: “과연 예정론에 대한 대안인가?”

    2. 선택, 언약, 구원의 확신

    3. 그리스도와의 연합: 확신의 궁극적 토대

    맺는 말

     

    3장 존 프레스톤의 언약 신학

    I. 역사적 정황

    1. 정치 사회적 정황

    2. 신학적 정황

    II. 프레스톤의 언약 신학과 적용

    1. 두 개의 언약: 정의와 범위

    2. 언약의 실천적 함의

    3. 언약과 구원의 확신

    맺는 말

     

    4장 사무엘 루더포드와 토마스 후커의 언약 신학

    I. 사무엘 루더포드의 언약 신학

    1. 사무엘 루더포드의 언약 신학과 역사적 정황

    2. 사무엘 루더포드와 행위 언약

    3. 사무엘 루더포드와 은혜 언약

    4. 사무엘 루더포드와 구속 언약

    5. 루더포드의 언약 신학이 가진 교회론적 함의

    II. 토마스 후커의 언약 신학

    1. 토마스 후커와 행위 언약: 아담의 특수성

    2. 토마스 후커와 은혜 언약

    3. 토마스 후커와 구속 언약

    4. 토마스 후커의 언약 신학이 가진 교회론적 함의

    결론적 평가

     

    5장 프랜시스 튜레틴과 토마스 보스톤의 언약 신학

    I. 토마스 보스톤의 역사적 정황

    1. 토마스 보스톤과 그의 사회 정치적 정황

    2. 보스톤과 신학적 정황: “매로우 논쟁 1717-1723”

    II. 토마스 보스톤과 시내산 언약

    1. 자연법과 모세 언약

    2. 모세 언약과 그리스도의 법

    3.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복음적 순종

    III. 프랜시스 튜레틴과 시내산 언약

    1. 튜레틴의 신학적 정황

    2. 시내산 언약에 계시된 율법과 복음

    IV. 토마스 보스톤: 시내산 언약의 목회적 적용

    맺는 말

     

    617세기 뉴잉글랜드 청교도의 교회 언약

    I. 뉴잉글랜드 비분리파 회중교회의 공예배 순서

    1. 실례: 보스톤 교회의 공예배

    2. 보스톤 교회 공예배의 특징

    II. 예배 신학으로서의 교회 언약

    1. 교회 언약과 설교

    2. 교회 언약과 기도

    3. 교회 언약과 성만찬

    4. 새 언약 시대의 회중 예배

    맺는 말

     

    717세기 뉴잉글랜드 청교도의 교회 언약과 절반 언약

    I. 교회 언약, 과연 내면 언약(Internal Covenant)인가

    1. 명시적/묵시적 교회 언약

    2. “보이는 성도”(Visible Saints)의 성격

    3. 교회 언약과 성례

    II. 절반 언약 논쟁을 통해 드러난 교회 언약의 성격

    맺는 말

     

    참고문헌

    색인 - 인명, 주제

     

     

    4. 추천사

     

    안상혁 박사는 개혁주의 언약 신학에 관한 정제된 입문서를 마련하여 독자들에게 선사한다. 이 책은 언약 사상의 다양한 측면들에 관한 주의 깊은 논증들을 소개하는 여러 글들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언약 사상에 관한 서론적인 고찰이다. 2장은 그린햄과 퍼킨스의 저작들에 근거해서 언약 사상의 발달과 그 성격에 관한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세밀하게 검토하고 평가한다. 특히 언약 신학과 신자의 경건 사이에 형성된 긴밀한 관계를 부각시킨다. 이 장에서 저자는 영국 언약 사상의 발달을 튜더 왕조 말기와 스튜어트 왕조의 청교도주의라는 역사적 정황 속에서 신중하게 살핀다. 특히 언약과 예정에 관한 청교도 문헌 자료들을 근거로 해서 구원의 확신 문제를 탐구한다.

    계속하여 이 주제는 일찍이 실천 신학을 강조했던 존 프레스톤의 언약 신학을 논의하는 제3장으로 이어진다. 저자는 언약 사상에 근거한 경건주의를 단순히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일면적으로 분석하는 태도를 경계한다. 대신 심층 구조에서 그것의 기초를 제공하는 다양한 신앙적인 동기들에 주목한다. 그 과정에서 언약 교리의 규율적인 측면 이외에도 그것이 강력하게 표현하는 목회적인 성격을 입증해 낸다.

    5장에서 저자는 튜레틴과 보스톤의 언약 신학에서 발견되는 모세언약에 관한 다양한 입장을 세밀하게 정렬한다. 여기서 다루는 주제는 신자의 경건과 교회 생활에 중요한 의미를 던져준다. 그뿐 아니라 오늘날 율법과 복음의 관계에 대한 개혁주의적인 이해를 탐구하고 설명하고자 시도하는 현대의 논의에도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나머지 제4장과 제6장 그리고 제7장에서 저자는 영국과 뉴잉글랜드에서 발달한 언약 사상으로부터 교회론적 함의를 도출해 낸다(사무엘 루더포드와 토마스 후커).

    각 장의 모든 주제들에서 안상혁 교수는 현재 논의되는 연구물들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으며 일차 자료들에 근거한 견고한 해석을 제시한다. 이 저서는 언약신학에 관한 입문서로서 훌륭하게 역할할 것이다. 또한 보다 전문적인 입장에서 개혁주의 언약신학을 해석하고 탐구하는 사람들이 직면하게 되는 일련의 중요한 이슈들에 대한 좋은 입문서가 될 것이다.

     

    201410

    리처드 A. 멀러(Calvin Theological Seminary)

     

Designed by Tistory.